R&D CenterR&D 센터

쎌바이오텍의 심장. 세포공학연구소를 소개합니다.

쎌바이오텍 세포공학연구소

세계인의 장 건강을 위해 오직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만을 연구합니다.

세포공학연구소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의학적 효능과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화장품을 비롯해 바이오의약품 등으로 그 응용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쎌바이오텍 세포공학연구소는 미래지향적 R&D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생물 전문 연구 인력이 국내외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쎌바이오텍 세포공학연구소
연구소사진
주요 연구분야
종균 개발/관리
(Strain Managements)
종균 개발/관리
  • - 균주 개발, 제조 및 관리
  • - 균주 라이브러리 구축
  • - Cell Bank System 작업
  • - 균주별 최적화 및 생산공정 개선
  • - 균주별 최적의 배양조건 구축 및 유산균 기능 분석
미생물공학
(Microbial Technology)
미생물공학
  • - 미생물 기초연구
  • - 활성화된 단백질의 기초 표현 체계
  • - 유산균을 이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
  • - 유전자 재조합을 이용한 균주 개발
임상/비임상 연구
(Clinical/Non-Clinical)
임상/비임상 연구
  • - 항암제 후보물질에 대한 유효성 평가
  • - 유효 균주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 - 균주, 포뮬러, 제품 임상시험 및 효능 분석평가
NGS 기술 및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Microbiome)
NGS 기술 및<br>마이크로바이옴 연구
  • - 균주별 안전성 및 기능 예측
  • - 균주별 유전체 비교 및 분석
  •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비교 분석을 통한 프로바이오틱 효과 분석
  • -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을 위한 LACTO PAD™ 박테리오신 연구
바이오의약품
(Pharmabiotics)
바이오의약품
  • - 대장암 치료 후보물질의 분리 및 정제
  • - 대장암 치료 후보물질의 효능 평가 및 메커니즘 분석
  • -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 및 분석
  • - HCS 장비를 활용한 세포 이미지 분석
주요 연구분야
종균 개발/관리
(Strain Managements)
종균 개발/관리
  • - 균주 개발, 제조 및 관리
  • - 균주 라이브러리 구축
  • - Cell Bank System 작업
  • - 균주별 최적화 및 생산공정 개선
  • - 균주별 최적의 배양조건 구축 및 유산균 기능 분석
미생물공학
(Microbial Technology)
미생물공학
  • - 미생물 기초연구
  • - 활성화된 단백질의 기초 표현 체계
  • - 유산균을 이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
  • - 유전자 재조합을 이용한 균주 개발
임상/비임상 연구
(Clinical/Non-Clinical)
임상/비임상 연구
  • - 항암제 후보물질에 대한 유효성 평가
  • - 유효 균주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 - 균주, 포뮬러, 제품 임상시험 및 효능 분석평가
NGS 기술 및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Microbiome)
NGS 기술 및<br>마이크로바이옴 연구
  • - 균주별 안전성 및 기능 예측
  • - 균주별 유전체 비교 및 분석
  •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비교 분석을 통한 프로바이오틱 효과 분석
  • -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을 위한 LACTO PAD™ 박테리오신 연구
바이오의약품
(Pharmabiotics)
바이오의약품
  • - 대장암 치료 후보물질의 분리 및 정제
  • - 대장암 치료 후보물질의 효능 평가 및 메커니즘 분석
  • -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 및 분석
  • - HCS 장비를 활용한 세포 이미지 분석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 전체 유전자 시퀀싱 연구

    핵심 유전자 및 특정 유전자 식별

  • 천연 생리활성 물질 발굴

    프로바이오틱스에서 추출한 박테리오신

  •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수집된 데이터를 통한 장내 미생물 동정

  • 과학적으로 입증된 프로바이오틱스 포뮬러 개발

    유전자 연구를 통한 기능성 균주 포뮬러 개발

  • 비교유전체 연구

    각 균주의 고유 유전자 식별

  • 균주 유전체 라이브러리 구축

    유전자 연구를 통한 개별 균주 데이터베이스 구축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Next Generation Sequencing

세포공학연구소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해 인간의 건강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장내 미생물)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프로바이오틱스를 융합한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개인별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하고
건강상태에 따라 섭취 가능한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개발하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TOP